행동이 답이다
2020년 여름 정말 많은 비와 함께 긴긴 장마가 끝났습니다. 긴 장마는 저희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그중에는 배추도 그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배추는 2월 제주도부터 수확되어 8월말 강원도 고냉지 배추가 수확이 끝납니다. 그리고 다시 10월초 김장배추가 시작됩니다. 김장배추가 시작되기전 8~10월중순까지 배추 가격이 요청치는데, 이번 장마는 배추가격을 kg당 500~600원정도에서 2,500원까지 4배이상 오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의 대표음식인 김치에 대해서 알아볼겠습니다.
김치는 무·배추·오이 등과 같은 채소를 소금에 절이고 고추·파·마늘·생강 등 여러 가지 양념을 버무려 담근 채소의 염장 발효식품입니다. 김치는 마치 한식의 대표 선수라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우리 음식을 대표하는 아이콘처럼 되었습니다. 아니, 어떤 때는 아예 한국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등장하는 김치는 주로 배추김치입니다. 여러분들은배추김치가 생긴 지 100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신(新) 식품’이라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래서 사실은 TV사극에서 고종초기의 수라상에도 이 배추김치가 나와서는 안 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치 - 한국의 대표 음식 (위대한 문화유산, 최준식)
김치의 어원?우리나라에서는 김치를 ‘지(漬)’라고 하였다.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서는 김치담그기를 ‘염지(鹽漬)’라 하였는데, 이것은 ‘지’가 물에 담근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말기에는 유교가 도입되어 복고주의로 흘러 중국에서도 6세기 이후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저(菹)’라는 명칭이 쓰였다. 즉 본래 지라고 부르던 것이 유교의 복고주의에 따라 고려말부터 저라 부르게 된 것이다. 조선 초기에는 ‘딤채’라는 말이 보이는데, 1518년(중종 13)의 『벽온방(辟瘟方)』에는 “무딤채국을 집안사람이 다 먹어라.”라는 말이 나오며, 1525년의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는 저를 ‘딤채조’라 하였다. 즉 우리 겨레는 소금에 절인 채소에 소금물을 붓거나 소금을 뿌림으로써 독자적으로 국물이 많은 김치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것은 숙성되면서 채소 속의 수분이 빠져나오고 채소 자체는 채소 국물에 침지(沈漬)된다. 또 국물이 많은 동치미 같은 것에서는 채소가 국물 속에 침전되고 만다.
우리나라 김치의 가장 큰 특성은 김치에다 고추를 섞는 것이라고 하겠다. 고추는 비타민 C가 매우 많아서 사과의 50배, 밀감의 2배에 이른다. 또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과 고추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E는 비타민 C의 산화를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우리 겨레는 긴 겨울 동안 부족되기 쉬운 비타민 C를 이 김치를 통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캡사이신은 젓갈의 지방이 산패하여 비린내가 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김치에 들어가는 고추와 마늘은 김치를 발효시키는 젖산균의 번식을 크게 도와준다고 한다. 그밖에도 김치는 식물섬유로서의 구실도 크게 하고 있다. 이렇듯이 김치는 미각·촉각·시각은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영양상으로도 식물성과 동물성을 아울러 가진 완전한 영양식품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제 양념에서 밥반찬을 거쳐 하나의 부식량으로까지 발전하였다.[네이버 지식백과] 김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년 김치시장을 추정하면 김치 전체 시장은 4조 3,000억 규모로 국내시장은 4조 2,000억 해외 수출 1,000억입니다. 그 중 담근 김치(집에서 직접 담거 먹는 김치)와 상품김치(기업에서 판매하는 김치)의 비중은 7:3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상 종가집이나 CJ 비비고 판매하는 상품김치 시장은 1조 3000억 규모로 B2B(학교 및 기업식당)시장은 1조 77% 비중, B2C시장은 3,000억 23.0%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정 內 포장김치 수요 증가 따른 리테일 시장규모 증가 19년 2,600억원, +6% 성장(닐슨 19년. FY 기준) 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김장포기족 증가, 상품김치 품질 향상, 코로나시대 손쉬운 온라인 김치 구매 증가로 볼수 있습니다. (출처 : AT 한국 농수산식품 유통공사 2017년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 / 수출입 무역통계 / 관세청)
중국산 김치 수입 동향은 2018년 291천톤 전년 대비 5.4% 증가되면서 매년 5~10%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습니다. 특히 B2B 경로 유통되며서 위협적 가격대로 납품되고 있습니다. 예상 원가 760원/KG [수입원가 560원/KG + 200원/KG(관세20% + 부대비용)]이며, B2B 경로 1,000원 ~ 1,300원 경쟁력 있는 단가로 납품되고 있습니다.
국내 배추 생산(재배)실적은 2,392천톤으로 전년비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1인당 김치 섭취량 감소의 영향으로 연간 배추 생산량은 소폭 감소 추세입니다. 1~2인 가구 증가로 ‘김포족(김장 포기족)’ 증가와 여성의 사회생활 증가 그리고 온라인등으로 고품질의 김치를 손쉬게 구매할수 있어서 상품김치 시장은 증가 추세입니다. 특히 MS 1위 종가집의 아성에 CJ 비비고가 2018~2019년 2년동안 김치 전쟁을 하면서 MS를 많이 차지한 사황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에는 종갓집김치 vs 비비고김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상
'경영, 경제, 직장업무 > 시장분석,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환경분석] 선물세트시장 환경분석(PEST분석) 및 트랜드 전략방향 (2) | 2020.10.07 |
---|---|
마케팅] 캔햄시장 MS 1위, 스팸의 탄생(역사, 어원)과 국가별 소비자 인식 (2) | 2020.10.05 |
온라인 환경 분석] E-commerce (온라인)시장 - 유통업 파괴, 채널 붕괴 (4) | 2020.07.30 |
환경 분석] 글로벌 경제 위기속 산업별 영향 및 전망 그리고 대응전략 (5) | 2020.06.25 |
"세계 최초 모바일 신분증(모바일 운전면허증), 국민비서 등 서비스 시행" 정부 디지털 세계선도 국가 도약 (0) | 2020.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