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이 답이다
오늘은 밀가루에 대해서 구조, 제분공정, 밀가루의 품질, 밀가루의 시험 등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1. 밀가루 정의
-. 밀가루는 원료인 밀의 종류에 따라 품질이 달라진다. 밀가루를 일정한 방법으로 흐르는 물에서 반죽을 하여, 녹말이나 물에 녹는 성분을 흘려 보낸다. 그러면 글루텐을 얻게 되는데, 물기를 빼고 양을 측정한다. 이것을 습부량(濕麩量)이라고 하며, 양의 다소로 구별한다.
-. 밀가루의 구조(조성)는 피부 : 배유 : 배아 (16 : 82 : 2)
2. 밀가루의 제분공정
-. 원료 → 정선 → 조질 → 만쇄 → 사별 → 분쇄 → 숙성 → 완성
3. 밀가루의 품질
1) 글루텐 함량에 따른 분류
① 강력분(强力粉):경질(硬質) 밀을 원료로 한 것으로 경질밀가루라고도 한다. 캐나다·미국에서 생산되는 밀에서 얻어진다. 글루텐의 함량이 많으며, 습부량은 보통 40% 이상인 밀가루로서 제빵용과 마카로니용에 적합하다.
② 박력분(薄力粉):연질(軟質) 밀을 원료로 한 것으로 연질밀가루, 박력분이라고도 한다. 미국의 태평양 연안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생산되는 밀에서 얻는다. 습부량이 30%이하, 건부량은 10%이하인 밀가루로서 과자 및 튀김용에 적합하다.
③ 중력분(中力粉):강력분과 박력분의 중간으로서 습부량이 35%이하, 건부량은 10~30%이다. 한국·오스트레일리아산 밀에서 얻어지며, 국수용에 적합하다. 이밖에 한국에서는 강력분과 중력분 중간의 것으로 준강력분이 생산된다. 밀을 제분하여 얻어지는 밀가루의 수득률을 높이려면, 껍질(밀기울)의 혼입이 많아진다.
2) 회분함량에 따른 분류
① 고급밀가루 : 회분함량이 0.5%이하, ② 보통밀가루 : 0.5~0.7%, ③ 저급밀가루 : 0.7~1.0% 이상
한국 농산물 검사규격에서 밀가루의 등급과 회분 함량의 1등품은 0.5% 이하, 2등급은 0.5∼0.7%, 3등품은 0.7∼1.00%로 되어 있다. 밀가루는 빛깔이 흰 것을 좋아하므로 표백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밀가루를 공기 중에 방치하면 자연적으로 표백된다. 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표백제로서 과황산암모늄·과산화벤조일·과산화질소 등을 사용한다. 이들 산화제에는 표백작용 이외에 글루텐의 성질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 것도 있다. 밀가루에는 제분공정에 따른 구별이 있다.
3) 조립정선기에 따른 분류 (파텐트분, 클로어분, 테일분, 스트레이트분)
조립정선기(粗粒精選機:purifier)로 정선하여 껍질 부분이 없는 세몰리나(semolina:마카로니·푸딩용의 거친 밀가루)를 분쇄한 것은 파텐트분(粉)이라 하여 상급품에 속한다. 이 기계에 걸리지 않아 껍질 부분이 약간 많은 것을 클리어분이라 한다. 이 2가지를 모두 합친 것을 스트레이트분이라 하고, 밀기울에 가까운 껍질 부분이 많은 부분을 테일분[末粉]이라 하여 별도로 취급한다.
4. 밀가루의 시험
1) 습부량(Wet gluten, %) : 습부중량 / 사용밀가루의 중량 * 100
2) Forinograph : 밀가루 반죽의 점탄성을 알 수 있는 장치
3) Extensograph : 반죽의 신장도 및 안장항력을 측정. 기록하는 것
4) Amylograph : 밀가루 속에 있는 α-amylase 의 활성을 측정
이상
'일상,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급과 파견의 구분하는 핵심적인 기준(근로자파견을 구별하는 5가지의 기준), 불법판견일 경우 1] 비정규직 정규직전환 2] 근로자 차별적 처우에 대한 보상 3개년 지급 (0) | 2021.07.18 |
---|---|
소시지, 비엔나소시지, 후랑크소시지 어원과 제조공정(만드는 방법) (2) | 2021.07.17 |
식품의 유통기한(Shalf Life)의 정의, 종류, 설정방법, 유통기한 가속실험, 유통기한 변경보고서 (4) | 2021.07.12 |
코로나 19 백신 접종시기. 접종순서. 접종기관. 접종신청방법. 20대,30대,40대,50대 접종일정(순서), 백신종류별 특성 비교 (2) | 2021.06.27 |
국민연금 = 최고 노후대책. '연금 540만원 더 내면 2,100만원 더 받는다?' +임의계속가입제도 (2) | 2021.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