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이 답이다.
반려동물 양육 현황, 비용비에 대한 자료를 포스팅하겠습니다.
몇 일전에 개는 휼륭하다 보다가 2021년 1월 반려동움 컨설턴트 사이트 'Petsecure'에서 발표한 세게 반려동물 인기 순위를 발표하였습니다. 당연히 반려동물의 1위는 강아지(개) 입니다.
■ 반려동물이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며 사람의 장난감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보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과거에는 ‘애완동물(愛玩動物)’이라 하였으나, 1983년 10월 27~28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the human-pet relationship)를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동물 행동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K.로렌츠의 80세 탄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과학아카데미가 주최한 가운데 개 ·고양이 ·새 등의 애완동물을 종래의 가치성을 재인식하여 반려동물로 부르자는 제안이 나왔고 승마용 말도 여기에 포함하도록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반려동물 [Companion Animal, 伴侶動物] (두산백과)
■ 반려동물 양육 현황
2020년 반려동물 양육률은 전체 응답자의 27.7%로 전국 추정 시 638만 가구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수는 2,304만 가구입니다, 2019년(591만 가구)보다 47만가구가 +7.9% 증가했습니다. 그 중 반려견은 521만 가구에서 602만 마리 81.6%를, 반려묘는 182만가구에서 258만 마리 28.6%를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육 가구수는 (’15) 457만 가구 → (’17) 593 → (’18) 511 → (’19) 591 → (’20) 638 순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국 반려동물 수 추정(개/고양이)는 (’15) 513만마리 / 190 → (’17) 662 / 233→ (’18) 507 / 128 → (’19) 598 / 258 → (’20) 602 / 258
■ 양육비 지출 내역
반려동물의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용은 11.7만 원으로 반려견은 17.6만 원, 반려묘는 14.9만 원으로 조사 되었습니다. 이중 개, 고양이 외 햄스터·토끼·앵무새 등 기타 반려동물 포함, 월평균 2.6만원 소요 되었습니다. 반려견의 경우 수도권(서울/경기) > 수도권 외 동지역 > 수도권 외읍면지역 순으로 양육비를 많이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려동물과 함게 살면 장점은 무척 많습니다. 퇴근 후 반겨주는 모습, 잘 때 꼭 옆에 붙어서 자는 다정한 모습, 우울할 때 꼭 껴안고 위로 받는 느낌 등등... 하지만 단점도 많으니 신중히 검토하고 결정해주셔야 합니다.
경제적인 부담과 산책등으로 주말의 자유시간의 축소, 털과 관련된 알레르기, 여행시 불편함 등등 그리고 변 처리까지 비주얼과 냄새가 마음을 불편하게 합니다. 따라서 신중하게 선택한 후 평생 반려동물을 선택을 권해드립니다.
이상
'일상,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고용에 따른 고용관계 분류(파견, 도급, 위임, 용역, 소상장제) 및 파견과 도급의 구별 기준 (0) | 2021.05.07 |
---|---|
주 52시간제 근무 본격 시행 (5인 이상 7월 1일부터), 처벌기준. 적용시기 (2) | 2021.05.03 |
한국 식품기업 매출액 순위 및 경로별 매출액 (2) | 2021.04.25 |
은행업의 시장 현황 및 시장점율(예수금, 대출금) 현황 (0) | 2021.04.18 |
한국씨티은행 소비자금융 사업 철수(통매각, 분리매각, 소멸) 시나리오 및 이유(사유) (0) | 2021.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