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경제, 직장업무/시장분석, 마케팅

농촌의 4차 산업혁명 수경 재배, 스마트팜의 장점 및 장기적 성장 전망

by 실행하는 아빠 2020. 4. 25.
반응형

수경재배란? 토양을 이용하지 않은 무토양 상태에서 작물을 고정시키고, 작물에 필요한 필수 원소를 적절 흡수 비율을 용해시킨 뒤 배양액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 수경재배 역사는 실질적으로 수경재배가 상업적으로 시작한지는 1940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쭉 거슬러 올라가 한국에서는 1954년부터 수경재배에 대한 기초연구가 시작되고 시행착오 끝에 2000년대 양액재배의 시스템들이 도입되면서 지금까지 잘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1. 스마트팜이란?

정보통신기술을 농업에 접목해 원격, 자동으로 농업환경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농장으로, 생산부문은 사용자가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양액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주요 골자가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4년부터 스마트팜 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 스마트팜의 장점

  1] 안전하고 깨끗합니다. 여러가지 항목(15~20가지)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물을 사용,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인증, 무농약 인증, 그리고 해충의 피해가 없습니다. 

  2] 365일 언제나 신선합니다. 365일 최적의 성장조건을 유지합니다. 뿌리가 직접 닿는 물의 온도를 18~20°C로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온도를 맞출 수 있습니다

  3] 정보 통신 기술(ICT) 이용하여 스마트합니다. 생육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 관리하고, PC와 스마트폰 등으로 원격에 서 자동 관리할 수 있어, 생산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편리성도 높일 수 있다.  

 

3. 스마트팜 장기적 성장 전망 

   1]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식량문제 대두

   스마트팜은 최근 코로나 19에 따른 이동 제한과 노동자의 현장 기피로 인해 쌀과 밀 등을 수출하는 인도, 베트남 등의 국가들은 식량 수출을 봉쇄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현상이 한국의 좁은 경작 면적, 취약한 외부 환경, 줄어든 농업 인구와 맞물리게 되면서 복합적인 식량문제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2] WTO 개도국 특혜 포기 및 저가 농산물 대응 방안 

   '19년 10월 WTO에서 개발도상국 특혜를 포기하면서 농업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되면서 스마트팜 사업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글로벌 2위 농업 수출국인 네덜란드는 1980년대 스페인, 포르투갈 등지로부터 대량의 저가 농산물 유입에서 시작된 농가 위기를 스마트 농업 전환하면서 해결하였고, 우리나라 역시 스마트팜으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필요할 시점이다. 

   3] 지능화된 농장을 통한 농업의 현안 문제 해결 - 정부의 스마트팜 정책 추진

    스마트팜은 농업의 현안인 노동력 부족, 생산성 저하, 농가 소득 정체 등을 해결해 줄 것뿐만 아니라 노동력, 에너지, 양분 등을 종전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제고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국의 4곳 전북 김제, 경북 상주, 전남 고흥, 경남 밀양 등에 혁신 밸리 조성을 추진 중이며 현재 경북 상주의 스마트팜은 건설 중이다.  

 

■ 스마트팜 수혜주 그린 플러스

 

오늘은 여기까지 

https://eibery77.tistory.com/21

 

봄감자 수확전에 고랭지감자 소비해야 된다!!?? "시장 왜곡" vs "농민 눈물"

오늘은 잠시 온라인을 뜨겁게 오르내리던 감자에 대해서 조사 및 제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코로나19 이슈 이후 학교급식 및 식당의 소비가 줄어들면서 몇 일전 검색순위에 오르던 강원도 고랭지감자에 대해서..

eibery77.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